Relationship
...........................................................................................................................................

In paintings by Jan Steen, a 17th century genre painter from the Netherlands, dogs were often featured. They were purposefully featured in order to delineate the realism of his settings. Cho, who is holding a private exhibition, also featured dogs in his works. However, unlike Steen, he is playing up the dog as the main character.

Cho's work features various types of dogs, including cocker spaniels, schnauzers, dachshunds, dobermans, hound dogs, and bull dogs. The works portray these dogs from various angles such as taking a browse at the world as they walk with their owners, taking a sniff, turning around to wait for their owners, etc.

Many people consider dogs as family because of their loyalty and friendliness to humans. Like the saying, Humans feed dogs with food while dogs feed humans with love, it can be sai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dogs are special. This is also probably why Cho began to paint dogs. (Aside from oil paintings, he has painted hundreds of watercolor paintings). Mesmerized by dogs walking down the Manhattan streets, Cho decided to paint dogs, and he does it so realistically that it makes you feel that you actually met a dog on the street.

By painting dogs interacting with humans, Cho is sending two messages: the auxiliary connecting human and human and the perspective from below. Dogs induce conversations for people who do not know one another and ultimately build a sense of intimacy, a message Cho is attempting to portray. The title of his works, integrates his message.

Henri Nouwen described the modern day human beings as 'nuclear beings' because of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ability to mingle well with others, while having high efficiency and function. These nuclear beings do not care about others these people usually live within their own world and do not have much opportunity to meet with others, including busy urban people. Cho is constantly emphasizing that dogs have a way to open these people's hearts. In reality, we see people conversing and even meeting on a regular basis through these dogs. In this matter, Cho has drawn genre paintings.

Focusing on the dog's perspective, Cho's works only portray pedestrians' lower half of their bodies. This was partially because of Cho's effort to paint from the dog's point of view. However,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dog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humans regardless of his or her skin color or race. In fact, personnel in his painting have been focused on depicting a society without prejudice. Everyone in his painting is described as equal beings going their own ways and living on with their lives. In dogs' eyes, the race of its owner is not important. The dogs follow and become loyal to those who love and care for them. What would the world be like if people viewed the society from that very perspective? Cho harbors these thoughts as he leaves humans' faces in his paintings.

There is one heartwarming episode endearing to my heart; it is about a loyal dog named Hachiko whose family loved him dearly. Every day, Hachiko went to the Shibuya station to see his owner off on his way to work, and went back to the station to greet him, until one day, his owner suddenly died. Not knowing what had happened, Hachiko went to Shibuya station every single day to wait for his owner for the next 10 years until he died. This is one of many stories portray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dogs. Of course, there are regrettable situations in which abandoned dogs increase at a fast rate; regardless,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dogs have maintained throughout humanity.

Another element in his works that is noteworthy is the use of optics. In the book, Secret Knowledge: Rediscovering the Lost Techniques of the Old Masters, David Hockney analyzed that optics has been used by not only modern day artists but also masters back in history, such as Caravaggio, Vermeer and Ingres. He further explains that these masters have taken painting to another level by utilizing camera lucida and camera obscura.

Hockney's assertion is one of many analyses of camera's contribution to paintings, and this is also proven in Cho's paintings. One may find that Cho paid attention to portraying the snapshots of moments, such as people out of breath and dogs showing a certain behavior or expression. This is where Cho has adopted the camera effect. The natural movements of his paintings are as if they were captured by a camera and the structures were relocated while painting. Even when delineating the moving images, Cho uses the perspective from the camera lens. For instance, there are scenes in which people's steps are drawn in a blur, as if the camera could not capture the subject because the shutter closed too quickly. This effect allows capturing the subject's movement.

Among Cho's works, there are paintings in which details are omitted, and instead, shaded. The structure is not much different from his other works but the mode of expression is clearly contrasted, especially the literal translation of reality verses the unique depiction through clear lines and bold shadings. It is interesting to see this unraveling of realistic story into unusual pictorial language.

Cho's private exhibition is a celebratory exhibition for homecoming from the U.S. Rather than displaying grandiose themes, Cho bases his works on trivial matters from everyday life, an aspect agreeable and relatable considering the delicate nature of his personality. Similar to his portrayed expectations for a warmer and better world, I am sure he's not the only one with that hope and longing.

Seo, Seong Rok
Professor of the Arts, Andong University

Relationship
...........................................................................................................................................

17세기 네덜란드 장르화가 얀 스텐(Jan Steen)의 그림 속에는 개가 종종 등장하곤 하였다. 그는 풍속화가였기 때문에 작품의 특성상 현장성을 살리기 위해 종종 개를 기용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조연에 불과할 뿐 작품의 주된 목적은 아니었다. 이번 개인전을 갖는 조원강의 작품에도 개가 등장한다. 하지만 얀 스텐의 경우와는 달리 그는 개를 주인공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그의 작품에는 코카 스파니얼, 슈나우저, 닥스훈트, 도베르만, 하운드, 불독 등 실로 다채로운 견공들이 등장한다. 대부분은 주인과 함께 거리로 산책나온 경우이며 전방을 주시하며 걸어가는 모습, 냄새를 킁킁 맡는 모습, 주인을 기다리거나 뒤를 돌아보는 모습, ‘볼일’을 보는 모습 등 다양한 각도에서 견공들을 조명하고 있다.

개는 동물 중에서도 인간과의 유대감이 가장 좋아서 가족과 같은 존재로 받아들이는 사람도 적잖다. 사람은 개에게 먹이를 줄 뿐이지만 개는 주인에게 사랑을 준다는 어느 견주의 말처럼 사람과 개의 관계는 각별한 것이 분명하다. 아마 조원강이 개를 그리는 것도 이와같은 배경에서일 것이다. 산책을 즐기는 작가는 맨해튼 거리에서 본 개의 모습에 매료되어 화면에 담기로 결심을 하였다.(그는 유화와는 별도로 수백여점의 수채드로잉을 하기도 했다.) 그것도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 마치 우리가 거리에서 개를 만난 기분마저 든다.

그림을 보면 개들은 사람들과 함께 한다. 여기서 작가가 말하려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즉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매개와 낮은 시각에서 바라봄이다. 개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맺어주는 것은 일상사가 되었다. 가령 개와 함께 산책을 나왔을 경우 다른 사람과 쉽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된다. 즉 모르는 사람들끼리도 개를 매개로 인사를 나누고 친밀해지는 것이다. 이것이 그가 작품을 통해 전하려는 바이다. 작품의 타이틀 도 바로 그가 말하려는 것을 집약해준다.

흔히 현대사회는 소통이 두절되었다고 해서 헨리 나우엔(Henri Nouwen)은 현대인을 ‘핵인간’이라고 불렀다. ‘핵인간’은 기능과 효율성에는 뛰어나지만 이웃과 잘 섞이지 못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핵인간’은 타인에 대해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다른 사람과 만날 기회를 좀처럼 갖지 못하고 자신의 세계에 파묻혀 지내는 경우가 그러하다. 바쁜 도시인들은 대부분 이런 경우에 속하지 않을까 싶다. 작가는 이런 사람들에게 개가 서로의 마음을 여는데 특효를 지녔음을 은연중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개를 통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심지어는 매일의 만남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작가는 이런 ‘현대인의 풍속도’를 표현하고 있는 셈이다.

두 번째 개를 바라보는 시각에 주목해보면, 그의 작품에는 예외없이 보행인들의 하반신만 보여진다. 물론 이런 시점은 개를 위주로 그리려다보니 어쩔 수 없는 구도로 볼 수도 있겠지만 상반신을 없앤다는 것은 인종과 피부에 상관없이 인간을 이해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실제로 작가가 인체를 그릴 때 가장 염두에 두는 것은 편견없는 사회이다. 그의 그림에선 모두가 평등하며 각자 제 갈 길을 가는 사람들로 묘사된다. 개의 눈에서 볼 때도 주인이 백인인지 흑인인지 아시아인인지는 중요치 않을 것이다. 자기를 가장 사랑해주고 보살펴주는 사람을 주인으로 섬기며 따를 따름이다. 엉뚱한 상상일지 모르지만 만일 우리가 개의 입장에서 사회를 바라본다면 어떨까. 아마 평화로운 세상이 하루라도 빨리 오지 않을까. 그가 일부러 사람의 얼굴을 그리지 않는 것은 차별없는 공동체를 마음에 품고 있어서이다.

충견에 대한 아름다운 에피소드 중에서 기억에 남는 것은 ‘하치’란 강아지에 대한 일화이다. 식구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해온 하치란 강아지는 매일 시부야역으로 주인을 배웅하고 또 저녁이 되면 마중을 나가며 행복한 나날을 보내던 중 어느날 출근을 나간 주인이 쓰러져 세상을 뜨고 말았다. 영문을 모르는 하치는 매일같이 시부야역에 나가 주인만을 눈이 오나 비나 오나 기다렸고, 무려 10년 동안이나 그런 생활을 되풀이하다 죽었다는 사실이 지상에 소개되면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물론 개와 얽힌 미담은 이밖에도 무수히 많겠지만 사람과 개의 관계가 얼마나 돈독한지 파악하는 데에 좋은 본보기가 되어 주고 있다. 우리나라에 애견 산업이 폭발적으로 증대되어가는 것 못지않게 유기견이 늘어나는 어두운 뒷모습이 있지만 인간과 개의 끈끈한 관계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랫동안 지속해 오고 있다.

그의 작품에서 주목하고 싶은 또 한가지는 광학의 이용이다.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는 『명화의 비밀』이란 책에서 광학의 사용은 현대화가들 뿐만 아니라 과거의 거장들, 즉 카라밧지오나 베르미어, 앵그르 같은 화가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을 분석한 바 있다. 그에 의하면 옛 거장들은 ‘카메라 루시다’나 ‘카메라오브스쿠라’를 이용하여 회화의 발전을 이룩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꼭 그의 주장이 아니더라도 카메라가 회화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그리고 이점은 조원강의 회화에서도 발견된다. 그의 그림을 보면 순간적인 이미지의 포착에 신경을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상이 움직이는 사람과 동물에 있는 만큼 대단히 숨 가쁘게 사람의 발걸음과 강아지의 동세나 표정을 잡아내지 않으면 안될것이다. 강아지가 작가를 위해 참을성을 가지고 꿋꿋하게 같은 동작을 취할 가능성은 지극히 희박하기 때문이다. 이점에서 작가가 끌어들인 것은 카메라의 기용이다. 작품화면의 자연스런 움직임은 카메라로 포착된 것들이며 이 구도를 다시 재조정하여 화면에 배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움직이는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인간의 시각이 아닌, 렌즈의 시각을 빌리고 있다. 가령 사람의 발걸음을 보면 초점이 맞지 않아 뿌옇게 처리되어 있다. 이것은 셔터가 빨리 닫치는 바람에 미쳐 피사체를 찍지 못할 때 생기는 현상과 비슷하다. 그 결과 뒷면의 피사체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의 작품 중에는 세부묘사를 생략한 채 음영으로 표현된 작품이 있다. 포즈나 구성은 다른 작품과 별반 차이가 없으나 표현방식은 뚜렷이 대조된다. 이 작품들에선 매스킹 테이프에 의한 분명한 선과 대담한 음영표현이 두드러진다. 같은 표현이더라도 리얼리즘 수법의 작품이 실재의 리터럴한 재현을 띈다면 이 작품에선 명료한 선과 음영을 통해 색다른 각도에서 대상을 재구성하고 있다. 실제적인 줄거리를 독특한 영상언어로 풀어가는 모습이 흥미롭다.

이번 조원강의 개인전은 그가 미국에서 돌아와 오랜 만에 선보이는 귀국 기념전의 성격을 띠고 있다. 그가 이번 개인전을 통해 보여주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닌, 아주 소소한 일상의 이야기들을 기초로 삼고 있다. 평소 그의 섬세한 성품으로 볼 때 충분히 공감이 가는 대목이다. 그의 기대처럼 우리의 일상이 좀 더 살맛나고 따듯해졌으면 하는 생각을 갖는 것은 필자만의 바람만은 아닐 것이다.

서성록 (안동대 미술학과 교수) - 2012 개인전 서문

Relationship
...........................................................................................................................................

In paintings by Jan Steen, a 17th century genre painter from the Netherlands, dogs were often featured. They were purposefully featured in order to delineate the realism of his settings. Cho, who is holding a private exhibition, also featured dogs in his works. However, unlike Steen, he is playing up the dog as the main character.

Cho's work features various types of dogs, including cocker spaniels, schnauzers, dachshunds, dobermans, hound dogs, and bull dogs. The works portray these dogs from various angles such as taking a browse at the world as they walk with their owners, taking a sniff, turning around to wait for their owners, etc.

Many people consider dogs as family because of their loyalty and friendliness to humans. Like the saying, Humans feed dogs with food while dogs feed humans with love, it can be sai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dogs are special. This is also probably why Cho began to paint dogs. (Aside from oil paintings, he has painted hundreds of watercolor paintings). Mesmerized by dogs walking down the Manhattan streets, Cho decided to paint dogs, and he does it so realistically that it makes you feel that you actually met a dog on the street.

By painting dogs interacting with humans, Cho is sending two messages: the auxiliary connecting human and human and the perspective from below. Dogs induce conversations for people who do not know one another and ultimately build a sense of intimacy, a message Cho is attempting to portray. The title of his works, integrates his message.

Henri Nouwen described the modern day human beings as 'nuclear beings' because of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ability to mingle well with others, while having high efficiency and function. These nuclear beings do not care about others these people usually live within their own world and do not have much opportunity to meet with others, including busy urban people. Cho is constantly emphasizing that dogs have a way to open these people's hearts. In reality, we see people conversing and even meeting on a regular basis through these dogs. In this matter, Cho has drawn genre paintings.

Focusing on the dog's perspective, Cho's works only portray pedestrians' lower half of their bodies. This was partially because of Cho's effort to paint from the dog's point of view. However,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dog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humans regardless of his or her skin color or race. In fact, personnel in his painting have been focused on depicting a society without prejudice. Everyone in his painting is described as equal beings going their own ways and living on with their lives. In dogs' eyes, the race of its owner is not important. The dogs follow and become loyal to those who love and care for them. What would the world be like if people viewed the society from that very perspective? Cho harbors these thoughts as he leaves humans' faces in his paintings.

There is one heartwarming episode endearing to my heart; it is about a loyal dog named Hachiko whose family loved him dearly. Every day, Hachiko went to the Shibuya station to see his owner off on his way to work, and went back to the station to greet him, until one day, his owner suddenly died. Not knowing what had happened, Hachiko went to Shibuya station every single day to wait for his owner for the next 10 years until he died. This is one of many stories portray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dogs. Of course, there are regrettable situations in which abandoned dogs increase at a fast rate; regardless,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dogs have maintained throughout humanity.

Another element in his works that is noteworthy is the use of optics. In the book, Secret Knowledge: Rediscovering the Lost Techniques of the Old Masters, David Hockney analyzed that optics has been used by not only modern day artists but also masters back in history, such as Caravaggio, Vermeer and Ingres. He further explains that these masters have taken painting to another level by utilizing camera lucida and camera obscura.

Hockney's assertion is one of many analyses of camera's contribution to paintings, and this is also proven in Cho's paintings. One may find that Cho paid attention to portraying the snapshots of moments, such as people out of breath and dogs showing a certain behavior or expression. This is where Cho has adopted the camera effect. The natural movements of his paintings are as if they were captured by a camera and the structures were relocated while painting. Even when delineating the moving images, Cho uses the perspective from the camera lens. For instance, there are scenes in which people's steps are drawn in a blur, as if the camera could not capture the subject because the shutter closed too quickly. This effect allows capturing the subject's movement.

Among Cho's works, there are paintings in which details are omitted, and instead, shaded. The structure is not much different from his other works but the mode of expression is clearly contrasted, especially the literal translation of reality verses the unique depiction through clear lines and bold shadings. It is interesting to see this unraveling of realistic story into unusual pictorial language.

Cho's private exhibition is a celebratory exhibition for homecoming from the U.S. Rather than displaying grandiose themes, Cho bases his works on trivial matters from everyday life, an aspect agreeable and relatable considering the delicate nature of his personality. Similar to his portrayed expectations for a warmer and better world, I am sure he's not the only one with that hope and longing.

Seo, Seong Rok
Professor of the Arts, Andong University

Relationship
...........................................................................................................................................

17세기 네덜란드 장르화가 얀 스텐(Jan Steen)의 그림 속에는 개가 종종 등장하곤 하였다. 그는 풍속화가였기 때문에 작품의 특성상 현장성을 살리기 위해 종종 개를 기용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조연에 불과할 뿐 작품의 주된 목적은 아니었다. 이번 개인전을 갖는 조원강의 작품에도 개가 등장한다. 하지만 얀 스텐의 경우와는 달리 그는 개를 주인공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그의 작품에는 코카 스파니얼, 슈나우저, 닥스훈트, 도베르만, 하운드, 불독 등 실로 다채로운 견공들이 등장한다. 대부분은 주인과 함께 거리로 산책나온 경우이며 전방을 주시하며 걸어가는 모습, 냄새를 킁킁 맡는 모습, 주인을 기다리거나 뒤를 돌아보는 모습, ‘볼일’을 보는 모습 등 다양한 각도에서 견공들을 조명하고 있다.

개는 동물 중에서도 인간과의 유대감이 가장 좋아서 가족과 같은 존재로 받아들이는 사람도 적잖다. 사람은 개에게 먹이를 줄 뿐이지만 개는 주인에게 사랑을 준다는 어느 견주의 말처럼 사람과 개의 관계는 각별한 것이 분명하다. 아마 조원강이 개를 그리는 것도 이와같은 배경에서일 것이다. 산책을 즐기는 작가는 맨해튼 거리에서 본 개의 모습에 매료되어 화면에 담기로 결심을 하였다.(그는 유화와는 별도로 수백여점의 수채드로잉을 하기도 했다.) 그것도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 마치 우리가 거리에서 개를 만난 기분마저 든다.

그림을 보면 개들은 사람들과 함께 한다. 여기서 작가가 말하려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즉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매개와 낮은 시각에서 바라봄이다. 개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맺어주는 것은 일상사가 되었다. 가령 개와 함께 산책을 나왔을 경우 다른 사람과 쉽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된다. 즉 모르는 사람들끼리도 개를 매개로 인사를 나누고 친밀해지는 것이다. 이것이 그가 작품을 통해 전하려는 바이다. 작품의 타이틀 도 바로 그가 말하려는 것을 집약해준다.

흔히 현대사회는 소통이 두절되었다고 해서 헨리 나우엔(Henri Nouwen)은 현대인을 ‘핵인간’이라고 불렀다. ‘핵인간’은 기능과 효율성에는 뛰어나지만 이웃과 잘 섞이지 못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핵인간’은 타인에 대해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다른 사람과 만날 기회를 좀처럼 갖지 못하고 자신의 세계에 파묻혀 지내는 경우가 그러하다. 바쁜 도시인들은 대부분 이런 경우에 속하지 않을까 싶다. 작가는 이런 사람들에게 개가 서로의 마음을 여는데 특효를 지녔음을 은연중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개를 통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심지어는 매일의 만남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작가는 이런 ‘현대인의 풍속도’를 표현하고 있는 셈이다.

두 번째 개를 바라보는 시각에 주목해보면, 그의 작품에는 예외없이 보행인들의 하반신만 보여진다. 물론 이런 시점은 개를 위주로 그리려다보니 어쩔 수 없는 구도로 볼 수도 있겠지만 상반신을 없앤다는 것은 인종과 피부에 상관없이 인간을 이해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실제로 작가가 인체를 그릴 때 가장 염두에 두는 것은 편견없는 사회이다. 그의 그림에선 모두가 평등하며 각자 제 갈 길을 가는 사람들로 묘사된다. 개의 눈에서 볼 때도 주인이 백인인지 흑인인지 아시아인인지는 중요치 않을 것이다. 자기를 가장 사랑해주고 보살펴주는 사람을 주인으로 섬기며 따를 따름이다. 엉뚱한 상상일지 모르지만 만일 우리가 개의 입장에서 사회를 바라본다면 어떨까. 아마 평화로운 세상이 하루라도 빨리 오지 않을까. 그가 일부러 사람의 얼굴을 그리지 않는 것은 차별없는 공동체를 마음에 품고 있어서이다.

충견에 대한 아름다운 에피소드 중에서 기억에 남는 것은 ‘하치’란 강아지에 대한 일화이다. 식구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해온 하치란 강아지는 매일 시부야역으로 주인을 배웅하고 또 저녁이 되면 마중을 나가며 행복한 나날을 보내던 중 어느날 출근을 나간 주인이 쓰러져 세상을 뜨고 말았다. 영문을 모르는 하치는 매일같이 시부야역에 나가 주인만을 눈이 오나 비나 오나 기다렸고, 무려 10년 동안이나 그런 생활을 되풀이하다 죽었다는 사실이 지상에 소개되면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물론 개와 얽힌 미담은 이밖에도 무수히 많겠지만 사람과 개의 관계가 얼마나 돈독한지 파악하는 데에 좋은 본보기가 되어 주고 있다. 우리나라에 애견 산업이 폭발적으로 증대되어가는 것 못지않게 유기견이 늘어나는 어두운 뒷모습이 있지만 인간과 개의 끈끈한 관계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랫동안 지속해 오고 있다.

그의 작품에서 주목하고 싶은 또 한가지는 광학의 이용이다.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는 『명화의 비밀』이란 책에서 광학의 사용은 현대화가들 뿐만 아니라 과거의 거장들, 즉 카라밧지오나 베르미어, 앵그르 같은 화가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을 분석한 바 있다. 그에 의하면 옛 거장들은 ‘카메라 루시다’나 ‘카메라오브스쿠라’를 이용하여 회화의 발전을 이룩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꼭 그의 주장이 아니더라도 카메라가 회화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그리고 이점은 조원강의 회화에서도 발견된다. 그의 그림을 보면 순간적인 이미지의 포착에 신경을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상이 움직이는 사람과 동물에 있는 만큼 대단히 숨 가쁘게 사람의 발걸음과 강아지의 동세나 표정을 잡아내지 않으면 안될것이다. 강아지가 작가를 위해 참을성을 가지고 꿋꿋하게 같은 동작을 취할 가능성은 지극히 희박하기 때문이다. 이점에서 작가가 끌어들인 것은 카메라의 기용이다. 작품화면의 자연스런 움직임은 카메라로 포착된 것들이며 이 구도를 다시 재조정하여 화면에 배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움직이는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인간의 시각이 아닌, 렌즈의 시각을 빌리고 있다. 가령 사람의 발걸음을 보면 초점이 맞지 않아 뿌옇게 처리되어 있다. 이것은 셔터가 빨리 닫치는 바람에 미쳐 피사체를 찍지 못할 때 생기는 현상과 비슷하다. 그 결과 뒷면의 피사체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의 작품 중에는 세부묘사를 생략한 채 음영으로 표현된 작품이 있다. 포즈나 구성은 다른 작품과 별반 차이가 없으나 표현방식은 뚜렷이 대조된다. 이 작품들에선 매스킹 테이프에 의한 분명한 선과 대담한 음영표현이 두드러진다. 같은 표현이더라도 리얼리즘 수법의 작품이 실재의 리터럴한 재현을 띈다면 이 작품에선 명료한 선과 음영을 통해 색다른 각도에서 대상을 재구성하고 있다. 실제적인 줄거리를 독특한 영상언어로 풀어가는 모습이 흥미롭다.

이번 조원강의 개인전은 그가 미국에서 돌아와 오랜 만에 선보이는 귀국 기념전의 성격을 띠고 있다. 그가 이번 개인전을 통해 보여주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닌, 아주 소소한 일상의 이야기들을 기초로 삼고 있다. 평소 그의 섬세한 성품으로 볼 때 충분히 공감이 가는 대목이다. 그의 기대처럼 우리의 일상이 좀 더 살맛나고 따듯해졌으면 하는 생각을 갖는 것은 필자만의 바람만은 아닐 것이다.

서성록 (안동대 미술학과 교수) - 2012 개인전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