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s Leash'
...........................................................................................................................................


'Man’s Leash'

The relationship that a newborn baby forms with its mother’s body from birth is something that not only mankind but also numerous other living organisms have in common.
The umbilical cord is a means of receiving nutrients, as well as a physical and emotional passage for communication.
It is a chain that connects rather than binds a relationship.
As soon as we take our first breath, the cord is cut away. However, we hold on to such short span of time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childbirth because as time passes, the ‘leash’ that connects one heart to another becomes more solid and intimate.
Perhaps we are genetically programmed to desire a sense of attachment and our instinct to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is the reason we are not able to live in solitude.
Even within the society, we use our most advanced technology to remain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ason that constant changes and developments are made in visuals, text, and even moving image in order to improve the standard of communication seems obvious.
From cradle to grave and beyond, we resist letting go of this ‘leash’ that connects us with one another.
Even outside of religion and conventional customs, we commemorate the dead and continue the story of their spirits in the afterlife.
Life begins by forming relationships and continues by maintaining them.

Won Kang Cho’s Leash

Won Kang Cho paints dogs.
He paints dogs, people, the background, but no matter what he paints on the canvas, dogs are undoubtedly the main focus.
The artist’s depiction of dogs as companions rather than as pets indicates that he treats dogs with the same amount of respect as he would a person.
We only catch a glimpse of the human body but are able to see the dog in its entirety.
In many of his paintings, the dog and its owner are connected by a leash.
A superficial interpretation of a leash may focus on the purpose of control; however, this leash can be seen as a metaphor for the mutual agreement of responsibility from both parties.
It recognises the freedom that comes from the responsibility of walking with a friend rather than revealing the lack of freedom that comes from the restriction of being tied down to one place.
People are able to walk hand-in-hand with one another, but with dogs this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of a leash and can be seen as an act of great consideration.
Furthermore, we are able to recognise the purpose of a leash as a sign of trust.
The tightness or the looseness of various leashes in these paintings visually point at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 and dog.
Whether it is an intense story, or a comforting dialogue, the leash creates an illusion of conversations.
Unconditional loyalty and show of affection may not be completely instinctual to a dog.
This is all possible because of the owner, or better yet the friend who patiently waits and listens.
Although not physically visible, when you pay close attention, these conversations can be heard.

Reminiscing Emotions

He photographs the streets of Manhattan and works from these images.
This, of course, is not a mere example of replication.
Each of his paintings works not only as a medium but also a catalyst to draw out emotions and bring back memories.
The moment he captures the streets of Manhattan, we are able to see both the city and the people find comfort in walking their dogs.
A single photograph unlocks an infinite amount of emotions; these images act as a fountain of endless inspiration.
More important is catching a fresh clue to certain emotions than simply standing in communication.

… And Reminiscing Dogs

The way we reminisce dogs is not much different to the way we reminisce other people.
We try to see them eye-to-eye, we remember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we respect their emotions.
Won Kang Cho’s perspective is low. Rather, from a man’s point of view is it considered low and yet it is in effect a natural composition from a dog’s point of view.
These paintings may come as a surprise and even seem unfamiliar but this is only due to our selfish prejudice.
If we bend over slightly in order to look at his paintings at eye-level, we are able to find the most stable and comforting composition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else in the world.
The way we reminisce dogs is similar to how we reminisce our friends.
Won Kang Cho’s small but honest collection of works invites the observer to lean in with an open heart.

A Blind Spot in Where Is Visible vs. Relationships in Where Invisible

A place is not seen because there is no one who desires to see it, not because it cannot be seen.
Take the figs that he used to eat in his studio.
A fig tree (無花果) in Korean means ‘a tree bearing fruit without flowers’. However, unlike what the name suggests, fig trees are not without flowers but instead bear flowers that are not visible. This is an example of naming works of art prosaically - only seeing what is blatantly obvious.
We cannot see everything in this world, but as soon as we try to understand others, we begin to see much more.
A sense of respect stems from the artist’s work, which allows us to engage in new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observer and a painting is not visible; but paradoxically the invisibility comes from a sense of translucent clarity rather than a curtain of dense and murky darkness.

Rim, Hye Song

Translated by So Eun Ahn

사람의 끈(leash)


태어 날 때부터 모체(母體)와 이어져 있는 것은 생명 출발의 시작점이자, 인간을 비롯한 수많은 생명의 공통점이다.
탯줄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고, 생각과 감정까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몸과 마음으로 느낄 수 있다.
그것은 결박의 끈이 아닌 결속을 의미하는 살아 숨 쉬는 관계의 사슬을 뜻한다.
세상의 숨을 들이켜는 순간 끈은 잘려나가지만, 단 몇 달의 기억을 잊지 못하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마음과 마음으로 연결된 끈이 더욱 굵고 단단해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다른 이들과 떨어져 살 수 없는 이유는 이러한 본능과도 같은 관계연결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사회 속에서도 우리는 최신의 매체를 이용하여 서로와 서로에 대한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시각적 이미지와 텍스트를 넘어 영상에 이르기까지 다른 어떤 기술의 발전보다 먼저 통신기술이 발달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이유일지 모른다.

태어나는 순간의 인간뿐 아니라 죽음으로 사라진 이도 관계의 끈을 놓지 않았다.
종교와 관습 밖에서도 죽은 이를 기리며, 영혼에 관한 이야기들을 계속해서 만들어간다.
연결로써 삶을 시작하고…. 끝없는 관계를 지속하는 것이다.

조원강의 끈(leash)

조원강은 캔버스 위에 개를 그린다.
개를 그리고, 사람을 그리고, 배경도 그리지만, 무엇을 봐도 캔버스의 주인공은 개일 수밖에 없다.
반려견으로서 ‘개’ 보다는 인간과 동등한 위치의 대상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만드는 부분이다.
사람의 신체는 부분만 나오고 눈빛을 볼 수 없지만, 개는 온전히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의 많은 그림 속에서 개와 사람은 끈으로 연결되어있다.
자신의 개를 제어 하려는 표면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개와 사람 양자 모두 서로의 책임을 함께 짊어지겠다는 의미는 아닐까 생각해본다.
한 곳에 묶여 제한된 자유를 부여받는 것이 아닌 함께 움직여 줄 수 있는 친구와 연결되어 책임감 있는 자유를 누리는 것이다.
사람과 사람은 손을 잡거나 하여 함께 걸어갈 수 있지만, 몸집이 낮은 개들을 생각해보면 낮은 시선에 대한 배려의 손잡음 이다.
나아가 사람과 신뢰의 대상을 연결하는 유기적인 끈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그의 그림 속 개끈의 팽팽함과 느슨함의 차이를 보면 서로의 대화를 엿듣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긴장감 있는 이야기를 하거나, 그저 편안한 이야기를 하듯 두 사이의 끈을 통해 다채로운 대화가 들린다.
주인에게 조건 없는 충성과 애정을 표현하는 것이 그들의 본능만은 아닐 것이다.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며 기다려주는 주인 아니 친구가 있기에 가능한 믿음의 표현이다.
보이진 않지만, 귀 기울이면 들을 수 있는 담소이다.

감정을 기억하는 방법

그는 뉴욕 맨해튼 거리의 사진을 직접 찍고, 그 사진을 통해 작업한다.
그것은 당연히 이미지의 복제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찰나의 기억과 추억을 떠올리게 하거나, 하나의 이미지를 통해 다른 감정을 끌어내는 매개체와 촉매제라는 두 역할 모두를 하는 것이다.
사진을 통해 촬영 당시의 순간,
전체적인 맨해튼 거리 분위기와 기질적으로 예민한 뉴요커들이 개와 함께 산책하며 안정감을 찾는 모습을 떠올리진 않을까.
한 장의 사진만으로도 무한한 감성을 여는 열쇠의 역할을 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그런 그의 작품을 보고 또 다른 영감을 얻어 낼 수 있듯이,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감수성의 화수분처럼.
무엇을 통하느냐는 것 보다는 감각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개를 추억하는 방법

개를 추억하는 방법은 다른 사람을 추억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상대의 눈을 맞추기 위해 몸을 숙이고, 표정을 기억하고 그들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이다.
조원강의 시점은 낮다. 아니 인간의 기준으로 낮은 것일 뿐 개의 시선에서는 적당히 편안한 구도이다.
이런 배경이 다소 이질적으로 다가올 수 있지만, 그것은 우리의 이기적인 편견 덕분이다.
마음을 조금만 숙여 그의 작품을 보면 그 어떤 세상의 구도보다 안정된 구도를 발견할 수 있다.
개를 추억하는 방법은 그저 친구를 기억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소소하지만, 진실한 그의 프레임은 보는 이를 숙이게 한다.

볼 수 있는 곳의 사각, 볼 수 없는 곳의 관계(사각 관계)

보이지 않는 곳은 볼 수 없기 때문이 아니라, 보려는 마음이 없는 것이다.
그의 작업실에서 먹었던 무화과(無花果)처럼.
무화과나무는 그 이름이 의미하듯 꽃이 없는 나무가 아니다. 다만 겉으로 보이는 꽃이 없을 뿐이다.
보이는 것만 보아 왔던 우리의 작명 실력을 보여주는 예이다.
세상 모든 것을 볼 수는 없지만, 조금만 상대를 이해한다면 많은 것을 볼 순 있다.
그렇게 시작되는 존중은 작가의 작품에서 느낄 수 있으며, 관계를 시작할 수 있는 판(版)에 비로소 우리의 마음을 올릴 수 있다.
그림과 사람의 관계는 볼 수 없지만, 그것은 속까지 환희 비춰지는 맑음 때문이다.
짙고 탁한 어둠으로 인한 장막이 아닌, 선명한 투명함이 있기에 눈에선 보이지 않는 것이다.


글 : 김승환 (2014 사각관계전 서문)

'Man’s Leash'
...........................................................................................................................................


'Man’s Leash'

The relationship that a newborn baby forms with its mother’s body from birth is something that not only mankind but also numerous other living organisms have in common.
The umbilical cord is a means of receiving nutrients, as well as a physical and emotional passage for communication.
It is a chain that connects rather than binds a relationship.
As soon as we take our first breath, the cord is cut away. However, we hold on to such short span of time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childbirth because as time passes, the ‘leash’ that connects one heart to another becomes more solid and intimate.
Perhaps we are genetically programmed to desire a sense of attachment and our instinct to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is the reason we are not able to live in solitude.
Even within the society, we use our most advanced technology to remain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ason that constant changes and developments are made in visuals, text, and even moving image in order to improve the standard of communication seems obvious.
From cradle to grave and beyond, we resist letting go of this ‘leash’ that connects us with one another.
Even outside of religion and conventional customs, we commemorate the dead and continue the story of their spirits in the afterlife.
Life begins by forming relationships and continues by maintaining them.

Won Kang Cho’s Leash

Won Kang Cho paints dogs.
He paints dogs, people, the background, but no matter what he paints on the canvas, dogs are undoubtedly the main focus.
The artist’s depiction of dogs as companions rather than as pets indicates that he treats dogs with the same amount of respect as he would a person.
We only catch a glimpse of the human body but are able to see the dog in its entirety.
In many of his paintings, the dog and its owner are connected by a leash.
A superficial interpretation of a leash may focus on the purpose of control; however, this leash can be seen as a metaphor for the mutual agreement of responsibility from both parties.
It recognises the freedom that comes from the responsibility of walking with a friend rather than revealing the lack of freedom that comes from the restriction of being tied down to one place.
People are able to walk hand-in-hand with one another, but with dogs this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of a leash and can be seen as an act of great consideration.
Furthermore, we are able to recognise the purpose of a leash as a sign of trust.
The tightness or the looseness of various leashes in these paintings visually point at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 and dog.
Whether it is an intense story, or a comforting dialogue, the leash creates an illusion of conversations.
Unconditional loyalty and show of affection may not be completely instinctual to a dog.
This is all possible because of the owner, or better yet the friend who patiently waits and listens.
Although not physically visible, when you pay close attention, these conversations can be heard.

Reminiscing Emotions

He photographs the streets of Manhattan and works from these images.
This, of course, is not a mere example of replication.
Each of his paintings works not only as a medium but also a catalyst to draw out emotions and bring back memories.
The moment he captures the streets of Manhattan, we are able to see both the city and the people find comfort in walking their dogs.
A single photograph unlocks an infinite amount of emotions; these images act as a fountain of endless inspiration.
More important is catching a fresh clue to certain emotions than simply standing in communication.

… And Reminiscing Dogs

The way we reminisce dogs is not much different to the way we reminisce other people.
We try to see them eye-to-eye, we remember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we respect their emotions.
Won Kang Cho’s perspective is low. Rather, from a man’s point of view is it considered low and yet it is in effect a natural composition from a dog’s point of view.
These paintings may come as a surprise and even seem unfamiliar but this is only due to our selfish prejudice.
If we bend over slightly in order to look at his paintings at eye-level, we are able to find the most stable and comforting composition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else in the world.
The way we reminisce dogs is similar to how we reminisce our friends.
Won Kang Cho’s small but honest collection of works invites the observer to lean in with an open heart.

A Blind Spot in Where Is Visible vs. Relationships in Where Invisible

A place is not seen because there is no one who desires to see it, not because it cannot be seen.
Take the figs that he used to eat in his studio.
A fig tree (無花果) in Korean means ‘a tree bearing fruit without flowers’. However, unlike what the name suggests, fig trees are not without flowers but instead bear flowers that are not visible. This is an example of naming works of art prosaically - only seeing what is blatantly obvious.
We cannot see everything in this world, but as soon as we try to understand others, we begin to see much more.
A sense of respect stems from the artist’s work, which allows us to engage in new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observer and a painting is not visible; but paradoxically the invisibility comes from a sense of translucent clarity rather than a curtain of dense and murky darkness.

Rim, Hye Song

Translated by So Eun Ahn

사람의 끈(leash)


태어 날 때부터 모체(母體)와 이어져 있는 것은 생명 출발의 시작점이자, 인간을 비롯한 수많은 생명의 공통점이다.
탯줄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고, 생각과 감정까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몸과 마음으로 느낄 수 있다.
그것은 결박의 끈이 아닌 결속을 의미하는 살아 숨 쉬는 관계의 사슬을 뜻한다.
세상의 숨을 들이켜는 순간 끈은 잘려나가지만, 단 몇 달의 기억을 잊지 못하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마음과 마음으로 연결된 끈이 더욱 굵고 단단해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다른 이들과 떨어져 살 수 없는 이유는 이러한 본능과도 같은 관계연결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사회 속에서도 우리는 최신의 매체를 이용하여 서로와 서로에 대한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시각적 이미지와 텍스트를 넘어 영상에 이르기까지 다른 어떤 기술의 발전보다 먼저 통신기술이 발달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이유일지 모른다.

태어나는 순간의 인간뿐 아니라 죽음으로 사라진 이도 관계의 끈을 놓지 않았다.
종교와 관습 밖에서도 죽은 이를 기리며, 영혼에 관한 이야기들을 계속해서 만들어간다.
연결로써 삶을 시작하고…. 끝없는 관계를 지속하는 것이다.

조원강의 끈(leash)

조원강은 캔버스 위에 개를 그린다.
개를 그리고, 사람을 그리고, 배경도 그리지만, 무엇을 봐도 캔버스의 주인공은 개일 수밖에 없다.
반려견으로서 ‘개’ 보다는 인간과 동등한 위치의 대상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만드는 부분이다.
사람의 신체는 부분만 나오고 눈빛을 볼 수 없지만, 개는 온전히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의 많은 그림 속에서 개와 사람은 끈으로 연결되어있다.
자신의 개를 제어 하려는 표면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개와 사람 양자 모두 서로의 책임을 함께 짊어지겠다는 의미는 아닐까 생각해본다.
한 곳에 묶여 제한된 자유를 부여받는 것이 아닌 함께 움직여 줄 수 있는 친구와 연결되어 책임감 있는 자유를 누리는 것이다.
사람과 사람은 손을 잡거나 하여 함께 걸어갈 수 있지만, 몸집이 낮은 개들을 생각해보면 낮은 시선에 대한 배려의 손잡음 이다.
나아가 사람과 신뢰의 대상을 연결하는 유기적인 끈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그의 그림 속 개끈의 팽팽함과 느슨함의 차이를 보면 서로의 대화를 엿듣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긴장감 있는 이야기를 하거나, 그저 편안한 이야기를 하듯 두 사이의 끈을 통해 다채로운 대화가 들린다.
주인에게 조건 없는 충성과 애정을 표현하는 것이 그들의 본능만은 아닐 것이다.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며 기다려주는 주인 아니 친구가 있기에 가능한 믿음의 표현이다.
보이진 않지만, 귀 기울이면 들을 수 있는 담소이다.

감정을 기억하는 방법

그는 뉴욕 맨해튼 거리의 사진을 직접 찍고, 그 사진을 통해 작업한다.
그것은 당연히 이미지의 복제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찰나의 기억과 추억을 떠올리게 하거나, 하나의 이미지를 통해 다른 감정을 끌어내는 매개체와 촉매제라는 두 역할 모두를 하는 것이다.
사진을 통해 촬영 당시의 순간,
전체적인 맨해튼 거리 분위기와 기질적으로 예민한 뉴요커들이 개와 함께 산책하며 안정감을 찾는 모습을 떠올리진 않을까.
한 장의 사진만으로도 무한한 감성을 여는 열쇠의 역할을 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그런 그의 작품을 보고 또 다른 영감을 얻어 낼 수 있듯이,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감수성의 화수분처럼.
무엇을 통하느냐는 것 보다는 감각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개를 추억하는 방법

개를 추억하는 방법은 다른 사람을 추억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상대의 눈을 맞추기 위해 몸을 숙이고, 표정을 기억하고 그들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이다.
조원강의 시점은 낮다. 아니 인간의 기준으로 낮은 것일 뿐 개의 시선에서는 적당히 편안한 구도이다.
이런 배경이 다소 이질적으로 다가올 수 있지만, 그것은 우리의 이기적인 편견 덕분이다.
마음을 조금만 숙여 그의 작품을 보면 그 어떤 세상의 구도보다 안정된 구도를 발견할 수 있다.
개를 추억하는 방법은 그저 친구를 기억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소소하지만, 진실한 그의 프레임은 보는 이를 숙이게 한다.

볼 수 있는 곳의 사각, 볼 수 없는 곳의 관계(사각 관계)

보이지 않는 곳은 볼 수 없기 때문이 아니라, 보려는 마음이 없는 것이다.
그의 작업실에서 먹었던 무화과(無花果)처럼.
무화과나무는 그 이름이 의미하듯 꽃이 없는 나무가 아니다. 다만 겉으로 보이는 꽃이 없을 뿐이다.
보이는 것만 보아 왔던 우리의 작명 실력을 보여주는 예이다.
세상 모든 것을 볼 수는 없지만, 조금만 상대를 이해한다면 많은 것을 볼 순 있다.
그렇게 시작되는 존중은 작가의 작품에서 느낄 수 있으며, 관계를 시작할 수 있는 판(版)에 비로소 우리의 마음을 올릴 수 있다.
그림과 사람의 관계는 볼 수 없지만, 그것은 속까지 환희 비춰지는 맑음 때문이다.
짙고 탁한 어둠으로 인한 장막이 아닌, 선명한 투명함이 있기에 눈에선 보이지 않는 것이다.


글 : 김승환 (2014 사각관계전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