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all, Filling the Longing beyond the Frame
...........................................................................................................................................


2023. 2.1 - 3.4 Gallery MARK

The hand is there. The pen senses the slightest movement of the hand. Now the wrist gazes at the pen. The moment his thoughts begin to develop, his hand grabs the pen. His mind stretches and proceeds to pay respect to the hand holding the pen. The pen fills the wall with drawings that depict the mass of the heart. As the mind paves its way, the lines become more apparent. The passion, hidden beneath the quiet and solitary line, peeps out. The line travels back and forth between his mind and his fingers. The expressions become more vivid with each tightly woven line. Lines envelope lines, decorating the entire wall with a network of relationships. The delicate and dense lines sculpt forms from a flat surface, eventually creating an abyss. In this way, the lines simultaneously draw boundaries and overlap freely to form relationships. There is something mysterious about the way that the lines are bound together. Should lines have blessed with souls, they would be holding onto each other tightly. These lines spread like ocean currents, intertwine like blood vessels, and pierce the walls to create absolute patterns.

Drawing, and line. I draw a line under the word line. In order not to forget, I underline this beautiful word. This line, a fluttering and unraveling thread, is endlessly drawn out from its root. It is eternal because there is no way of knowing its beginning and end. The unraveled lines keep a distance. The distance creates an abundant space within. As lines unravel and fill this space, yet another line interferes. The lines long for each other. This longing is endless. The lines continue to draw out until it reaches time to whisper secrets to one other. When time meets space, space becomes temporalized, and the silhouette of time measures the density of space and the duration of time. Even while keeping its distance, time cuts into space. While there is respect for the boundaries of the relationship, time cannot hide its passionate love. Eventually, this passion spills over the edge of the canvas, framing what is beyond the frame.

Soaring above the frame, the line meets with fresh air to blossom flowers and introduces ‘him’ to ‘her’. It allows him and his companion, her and her companion, companion with yet another, flowers, trees, sunlight, and green pastures to meet. Jeff Koons, Edgar Degas, and George Segal unravel like lines and become acquainted with each other. The line becomes ever busier in its efforts to connect the world. When the lines become busy, the mind also feels rushed. The mind struggles to overtake the speed of line. Each time this happens, the line stops to catch its breath and wraps its many layers around the mind. It creates a blank space to store its longing. The blank space is transparent. However, once this fleeting moment passes, the line starts to unravel and transforms the plane into something three-dimensional. Thick layers of time and space are raised like reliefs. Then, unable to overcome the weight, they become engraved into the wall like a petroglyph. The lines, as if dancing, elegantly embroider the walls. What we call the flat perspective of the mural unfolds a vast realm, where the gravity defying landscape that decorates the wall permeates the mind of the viewer.

Artist, Cho Won Kang. He first used thread, and then wire, to capture what he sees and what is seen. However, the use of thread proved to be too fickle to convey what he was feeling, and while wire is both strong and rigid, it lacked flexibility. Rather, the materiality of wire felt like a harsh gust of wind that tears apart a flower. Above all else, both thread and wire refused the form of drawing, yet the artist wanted nothing more than to draw. His body reminisced and beckoned at the nimbleness of his hands. His hands, nostalgic for drawing, cried out to him, stressing that it missed drawing so much. At long last, his hand is introduced to a 3D pen. His drawings finally come to light. Overwhelmed with joy, he made a promise that everything will derive from the tip of the pen. Gaining color, the lines will reveal the web of relationship from line to line and heart to heart. The pen will call out to and invite absent, even lost memories. That is why his drawings will not cease. The discomfort in his wrist is a pleasurable pain that testifies to his existence.

Prior to using the 3D pen, artist Cho Won Kang would photograph and portray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between seeing and being seen with a paintbrush. He has continued to explore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a certain existence that lives on through photographs but in reality, is absent. We have encountered both “how I am seen” and “how I see”. They no longer exist, but they took walks in the parks and streets of New York and wove through art galleries. They came and went between all those spaces. The sound of footsteps, of dogs sniffing, of flowers coming to full bloom, and of missing you, the lonely yawn of a hoopoe, the wind trudging along a dirt road, sounds of tired car engines, blood orange sunsets that tell of tomorrow, all of these moments accompany time and fill the screen.

Space had held onto time for so long. Therefore, the world observed by the artist, Cho Won Kang, which fills the screen, remained in that space for a long time. A lenticular of illusion where space slides into time, with the many layers of time overlapping and thickening. This too, was part of his practice. The overlapping images tested spatial illusion through movement. Lifeful images and videos, a screen. However, all those things are confined to the frame. Taking off the mass of matter, the artist attempted to recreate realism on the plane but only the void remained. Illusion, anyway, is something of a fundamental loneliness. Alienation is birthed by irony, yet even this sense of loneliness is confined to the frame. Then surely, looking beyond the frame must be the natural response.

Finally, the 3D pen grants freedom to time and space once confined by the frame. Transcending the frame, time and space reunite with their memories from the distant past. His pen began to raise the temperature of both people and objects. Pen, more delicate than oil paintbrushes. That is what began to fill the walls with its warmth. As the pen unravels freely, the lines hold each other in boundless embrace, portraying an incredible landscape through harmony. These ar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vivid and abundant memories from the 17 years, which he spent walking and experiencing New York. The memories, longing, and love shared between you and me. Thus, we are overwhelmed with the feast of relationships filled with longing, that speaks out to us. Namely, a mural of the 21st century. His pen will continue to look over the edge of the frame. It will continue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walls and connect hearts to hearts, revealing the vast landscape of the soul. Even just the thought of it evokes happiness.

Cho Yong Hoon (Professor of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ritic)

벽, 프레임 너머 그리움을 채우다
...........................................................................................................................................

손이 거기 있다. 손의 미세한 움직임을 펜이 눈치챈다. 이제 그의 손목이 펜을 응시한다. 생각이 숙성되는 순간 그의 손이 펜을 잡는다. 마음이 기지개를 켜고 펜을 잡은 손에 경의를 표한다. 3D 펜이 마음의 질량을 드로잉하며 벽을 채워 나간다. 마음이 길을 내니 선(線)이 뚜렷해진다. 아련하고 고요한 선, 내부에 감춘 격정도 슬쩍 얼굴을 내민다. 선(線)이 그의 마음과 손가락 사이를 바삐 오고 간다. 선과 선이 단단하게 결집해서 표정이 강인해 진다. 선이 선을 안고 감으며 벽 전체를 관계의 그물망으로 장식한다. 촘촘한 선들은 평면에서 입체를 조형하며 급기야 심연을 형성한다. 이렇게 선은 경계를 긋기도 하고 마음껏 포개지며 관계를 구성한다. 끈끈하게 연결된 선들은 신비롭다. 선이 영혼이 있다면 이렇게 서로 끌어 안았을 것이다. 선은 해류처럼 퍼져 가고 혈관처럼 얽히고 설켜서 벽까지 뚫어 절대 무늬를 만든다.

드로잉, 그리고 선(線). 선(線)이라는 단어에 선을 긋는다. 잊지 않기 위해서, 그 말이 아름다워서 그 단어 밑에 선을 긋는다. 선(線), 하늘거리며 풀어지는 실(絲)이 근원(泉)에서 끊임없이 생성된다. 시작과 끝을 알 수 없어서 영원하다. 풀어진 선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다. 그 거리는 내부에 풍요로운 공간을 형성한다. 선이 풀어져 공간을 채우면 다른 선이 그 사이를 파고 든다. 선과 선은 서로 그립다. 그 그리움은 끊임이 없다. 선은 길게 이어지다가 시간과도 만나 밀어를 속삭인다. 시간이 공간과 만나면 공간이 시간화되고, 시간의 실루엣이 공간의 밀도와 시간의 지속을 측량한다.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도 시간은 공간을 비집고 파고 든다. 사이를 존중하며 관조하지만 열정적 사랑을 감추지 못한다. 마침내 캔버스 외부로 훌쩍 도약한다. 프레임 너머를 프레임한다.

프레임 너머 비상한 선은, 청신한 공기와 만나 꽃을 피워내고 그와 그녀를 만나게 한다. 그와 반려견을, 그녀와 반려견을, 반려견과 반려견을, 꽃과 나무와 햇살과 초록을 만나게 한다. 재프 쿤스와 에드가 드가와 조지 시걸이 선처럼 풀어지며 서로 해후한다. 세계를 더욱 강하게 결속시키려고 선이 바빠진다. 선이 바쁘면 마음도 급해진다. 마음이 선의 속도를 뛰어 넘으려고 애쓴다. 그때마다 숨을 고른 선이, 여러 겹으로 그 마음을 에워싼다. 공간에 여백을 만들어 그리움을 저장한다. 여백은 투명하다. 그것도 잠시, 선은 마구 풀어지며 평면을 입체화 한다. 두께가 쌓인 시간과 공간이 부조처럼 일어선다. 그러다가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벽에 암각화처럼 새겨진다. 선은 벽 위에 춤추듯 유려하게 수를 놓는다. 이름하여 평면 원근법의 벽화가 장대한 세계의 영역을 펼쳐낸다. 풍경은 무중력으로 벽에 장식돼 우리 마음 속으로 스며든다.

화가 조원강. 처음에는 실(絲)로, 다음에는 철사(鐵絲)로 보고 보이는 것을 담았다. 그러나 실은 견고하지 못해서 그 마음을 온전히 전달하지 못했다. 철사는 견고하고 강직했으나 유연함을 잃었다. 오히려 철사는 상처난 풀꽃을 찢는 바람 같았다. 실 혹은 철사는 무엇보다 드로잉을 거부했다. 그는 드로잉을 만끽하고 싶었다. 손의 날렵함이 그리웠고 몸은 그것을 기억하고 소환했다. 손은 그에게 드로잉의 아련함을 호소했다. 드로잉이 사무치게 그리웠다고 하소연했다. 그리고 마침내 3D 펜과 만났다. 그리고 그의 드로잉은 비로소 천연색으로 빛났다. 그는 기쁨을 감추지 못하고 다짐하고 기약했다. 모든 것은 펜에서 비롯하리라. 선은 색을 얻고 선과 선은 마음과 마음을 관계의 그물망으로 드러낼 것이다. 펜은 이제는 부재한, 사라진 추억조차 호명하고 초대할 것이다. 그래서 그의 드로잉은 멈추지 않았다. 손목은 불편을 체득했으나 행복한 고통은 그의 실존을 명확히 증언했다.

3D 펜 이전, 화가 조원강은 오래 전부터 보고 보여지는 존재의 관계망을 사진으로 포착해서 붓으로 채색한 바 있다. 사진 속에 등장하지만 지금은 부재하는 어떤 실존에 관한 회화적 탐구를 지속해 왔다. ‘보여지는 나’와 ‘바라보는 나’는 이미 우리와 만났었다. 그들은 지금 없지만 뉴욕의 공원과 거리를 산책했고 미술관을 걸었다. 그들은 그 모든 공간을 분주하게 오고 갔다. 발자국 소리, 반려견이 킁킁대는 소리, 꽃이 만개하는 소리, 당신을 그리워하는 소리, 후투티의 쓸쓸한 하품, 터벅 터벅 흙길을 걷는 바람, 피로한 자동차 소음, 내일을 고하는 핏빛 노을, 이들이 시간을 동반하고 화면을 가득 채웠다.
공간은 시간을 그토록 오래도록 붙잡았다. 그리하여 화면 가득, 화가 조원강이 응시한 세계가 공간 속에 머물렀었다. 여러 겹의 시간이 겹쳐서 두꺼워지고 공간이 시간 속으로 미끄러지는 환영의 렌티큘러(lenticular). 그것 역시 작업의 일환이었다. 겹쳐진 영상은 이동하면서 공간적 착시를 시험했다. 충만한 영상 그리고 화면. 그러나 그것들은 프레임에 갇혀 있다. 물질의 질량을 벗고 평면에 사실성을 구현했으나 충만한 공백으로 남았다. 환영은 어차피 근원적인 외로움 같은 것이다. 그 아이러니가 소외를 낳았고 소외마저 화면 프레임에 외롭게 갇혀 있었다. 그가 프레임 너머 시선을 준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마침내 3D 펜은 프레임에 갇혀있던 시간과 공간에게 자유를 선사했다. 시간과 공간은 프레임을 초월하여 오래 전 기억과 다시 만났다. 그의 펜이 인물과 사물의 체온을 높이기 시작했다. 유화의 붓보다 가녀린 펜. 그것이 따뜻한 온기로 벽을 가득 채우기 시작했다. 펜은 마구 풀어지면서 서로를 경계없이 품고 안으며 놀라운 균형 감각으로 멋진 풍경을 펼쳐보였다. 17년 동안 그가 뉴욕을 걷고 만난 강렬하고 풍요로운 기억이다. 너와 나의 기억이고 그리움이며 사랑이다. 그리하여 그리움으로 가득 채워진 관계의 향연이 우리에게 말을 걸어왔다. 이름하여 21세기 벽화. 그의 펜은 앞으로도 끝끝내 멈추지 않고 프레임 밖을 향할 것이다. 벽과 벽의 경계마저 허물고 마음과 마음을 연결해서 광대무변한 영혼의 풍경을 펼쳐보일 것이다. 상상만으로 행복해지지 않는가.

조용훈(청주교대 교수, 문화비평가)

The Wall, Filling the Longing beyond the Frame
...........................................................................................................................................


2023. 2.1 - 3.4 Gallery MARK

The hand is there. The pen senses the slightest movement of the hand. Now the wrist gazes at the pen. The moment his thoughts begin to develop, his hand grabs the pen. His mind stretches and proceeds to pay respect to the hand holding the pen. The pen fills the wall with drawings that depict the mass of the heart. As the mind paves its way, the lines become more apparent. The passion, hidden beneath the quiet and solitary line, peeps out. The line travels back and forth between his mind and his fingers. The expressions become more vivid with each tightly woven line. Lines envelope lines, decorating the entire wall with a network of relationships. The delicate and dense lines sculpt forms from a flat surface, eventually creating an abyss. In this way, the lines simultaneously draw boundaries and overlap freely to form relationships. There is something mysterious about the way that the lines are bound together. Should lines have blessed with souls, they would be holding onto each other tightly. These lines spread like ocean currents, intertwine like blood vessels, and pierce the walls to create absolute patterns.

Drawing, and line. I draw a line under the word line. In order not to forget, I underline this beautiful word. This line, a fluttering and unraveling thread, is endlessly drawn out from its root. It is eternal because there is no way of knowing its beginning and end. The unraveled lines keep a distance. The distance creates an abundant space within. As lines unravel and fill this space, yet another line interferes. The lines long for each other. This longing is endless. The lines continue to draw out until it reaches time to whisper secrets to one other. When time meets space, space becomes temporalized, and the silhouette of time measures the density of space and the duration of time. Even while keeping its distance, time cuts into space. While there is respect for the boundaries of the relationship, time cannot hide its passionate love. Eventually, this passion spills over the edge of the canvas, framing what is beyond the frame.

Soaring above the frame, the line meets with fresh air to blossom flowers and introduces ‘him’ to ‘her’. It allows him and his companion, her and her companion, companion with yet another, flowers, trees, sunlight, and green pastures to meet. Jeff Koons, Edgar Degas, and George Segal unravel like lines and become acquainted with each other. The line becomes ever busier in its efforts to connect the world. When the lines become busy, the mind also feels rushed. The mind struggles to overtake the speed of line. Each time this happens, the line stops to catch its breath and wraps its many layers around the mind. It creates a blank space to store its longing. The blank space is transparent. However, once this fleeting moment passes, the line starts to unravel and transforms the plane into something three-dimensional. Thick layers of time and space are raised like reliefs. Then, unable to overcome the weight, they become engraved into the wall like a petroglyph. The lines, as if dancing, elegantly embroider the walls. What we call the flat perspective of the mural unfolds a vast realm, where the gravity defying landscape that decorates the wall permeates the mind of the viewer.

Artist, Cho Won Kang. He first used thread, and then wire, to capture what he sees and what is seen. However, the use of thread proved to be too fickle to convey what he was feeling, and while wire is both strong and rigid, it lacked flexibility. Rather, the materiality of wire felt like a harsh gust of wind that tears apart a flower. Above all else, both thread and wire refused the form of drawing, yet the artist wanted nothing more than to draw. His body reminisced and beckoned at the nimbleness of his hands. His hands, nostalgic for drawing, cried out to him, stressing that it missed drawing so much. At long last, his hand is introduced to a 3D pen. His drawings finally come to light. Overwhelmed with joy, he made a promise that everything will derive from the tip of the pen. Gaining color, the lines will reveal the web of relationship from line to line and heart to heart. The pen will call out to and invite absent, even lost memories. That is why his drawings will not cease. The discomfort in his wrist is a pleasurable pain that testifies to his existence.

Prior to using the 3D pen, artist Cho Won Kang would photograph and portray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between seeing and being seen with a paintbrush. He has continued to explore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a certain existence that lives on through photographs but in reality, is absent. We have encountered both “how I am seen” and “how I see”. They no longer exist, but they took walks in the parks and streets of New York and wove through art galleries. They came and went between all those spaces. The sound of footsteps, of dogs sniffing, of flowers coming to full bloom, and of missing you, the lonely yawn of a hoopoe, the wind trudging along a dirt road, sounds of tired car engines, blood orange sunsets that tell of tomorrow, all of these moments accompany time and fill the screen.

Space had held onto time for so long. Therefore, the world observed by the artist, Cho Won Kang, which fills the screen, remained in that space for a long time. A lenticular of illusion where space slides into time, with the many layers of time overlapping and thickening. This too, was part of his practice. The overlapping images tested spatial illusion through movement. Lifeful images and videos, a screen. However, all those things are confined to the frame. Taking off the mass of matter, the artist attempted to recreate realism on the plane but only the void remained. Illusion, anyway, is something of a fundamental loneliness. Alienation is birthed by irony, yet even this sense of loneliness is confined to the frame. Then surely, looking beyond the frame must be the natural response.

Finally, the 3D pen grants freedom to time and space once confined by the frame. Transcending the frame, time and space reunite with their memories from the distant past. His pen began to raise the temperature of both people and objects. Pen, more delicate than oil paintbrushes. That is what began to fill the walls with its warmth. As the pen unravels freely, the lines hold each other in boundless embrace, portraying an incredible landscape through harmony. These ar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vivid and abundant memories from the 17 years, which he spent walking and experiencing New York. The memories, longing, and love shared between you and me. Thus, we are overwhelmed with the feast of relationships filled with longing, that speaks out to us. Namely, a mural of the 21st century. His pen will continue to look over the edge of the frame. It will continue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walls and connect hearts to hearts, revealing the vast landscape of the soul. Even just the thought of it evokes happiness.

Cho Yong Hoon (Professor of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ritic)

벽, 프레임 너머 그리움을 채우다
...........................................................................................................................................

손이 거기 있다. 손의 미세한 움직임을 펜이 눈치챈다. 이제 그의 손목이 펜을 응시한다. 생각이 숙성되는 순간 그의 손이 펜을 잡는다. 마음이 기지개를 켜고 펜을 잡은 손에 경의를 표한다. 3D 펜이 마음의 질량을 드로잉하며 벽을 채워 나간다. 마음이 길을 내니 선(線)이 뚜렷해진다. 아련하고 고요한 선, 내부에 감춘 격정도 슬쩍 얼굴을 내민다. 선(線)이 그의 마음과 손가락 사이를 바삐 오고 간다. 선과 선이 단단하게 결집해서 표정이 강인해 진다. 선이 선을 안고 감으며 벽 전체를 관계의 그물망으로 장식한다. 촘촘한 선들은 평면에서 입체를 조형하며 급기야 심연을 형성한다. 이렇게 선은 경계를 긋기도 하고 마음껏 포개지며 관계를 구성한다. 끈끈하게 연결된 선들은 신비롭다. 선이 영혼이 있다면 이렇게 서로 끌어 안았을 것이다. 선은 해류처럼 퍼져 가고 혈관처럼 얽히고 설켜서 벽까지 뚫어 절대 무늬를 만든다.

드로잉, 그리고 선(線). 선(線)이라는 단어에 선을 긋는다. 잊지 않기 위해서, 그 말이 아름다워서 그 단어 밑에 선을 긋는다. 선(線), 하늘거리며 풀어지는 실(絲)이 근원(泉)에서 끊임없이 생성된다. 시작과 끝을 알 수 없어서 영원하다. 풀어진 선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다. 그 거리는 내부에 풍요로운 공간을 형성한다. 선이 풀어져 공간을 채우면 다른 선이 그 사이를 파고 든다. 선과 선은 서로 그립다. 그 그리움은 끊임이 없다. 선은 길게 이어지다가 시간과도 만나 밀어를 속삭인다. 시간이 공간과 만나면 공간이 시간화되고, 시간의 실루엣이 공간의 밀도와 시간의 지속을 측량한다.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도 시간은 공간을 비집고 파고 든다. 사이를 존중하며 관조하지만 열정적 사랑을 감추지 못한다. 마침내 캔버스 외부로 훌쩍 도약한다. 프레임 너머를 프레임한다.

프레임 너머 비상한 선은, 청신한 공기와 만나 꽃을 피워내고 그와 그녀를 만나게 한다. 그와 반려견을, 그녀와 반려견을, 반려견과 반려견을, 꽃과 나무와 햇살과 초록을 만나게 한다. 재프 쿤스와 에드가 드가와 조지 시걸이 선처럼 풀어지며 서로 해후한다. 세계를 더욱 강하게 결속시키려고 선이 바빠진다. 선이 바쁘면 마음도 급해진다. 마음이 선의 속도를 뛰어 넘으려고 애쓴다. 그때마다 숨을 고른 선이, 여러 겹으로 그 마음을 에워싼다. 공간에 여백을 만들어 그리움을 저장한다. 여백은 투명하다. 그것도 잠시, 선은 마구 풀어지며 평면을 입체화 한다. 두께가 쌓인 시간과 공간이 부조처럼 일어선다. 그러다가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벽에 암각화처럼 새겨진다. 선은 벽 위에 춤추듯 유려하게 수를 놓는다. 이름하여 평면 원근법의 벽화가 장대한 세계의 영역을 펼쳐낸다. 풍경은 무중력으로 벽에 장식돼 우리 마음 속으로 스며든다.

화가 조원강. 처음에는 실(絲)로, 다음에는 철사(鐵絲)로 보고 보이는 것을 담았다. 그러나 실은 견고하지 못해서 그 마음을 온전히 전달하지 못했다. 철사는 견고하고 강직했으나 유연함을 잃었다. 오히려 철사는 상처난 풀꽃을 찢는 바람 같았다. 실 혹은 철사는 무엇보다 드로잉을 거부했다. 그는 드로잉을 만끽하고 싶었다. 손의 날렵함이 그리웠고 몸은 그것을 기억하고 소환했다. 손은 그에게 드로잉의 아련함을 호소했다. 드로잉이 사무치게 그리웠다고 하소연했다. 그리고 마침내 3D 펜과 만났다. 그리고 그의 드로잉은 비로소 천연색으로 빛났다. 그는 기쁨을 감추지 못하고 다짐하고 기약했다. 모든 것은 펜에서 비롯하리라. 선은 색을 얻고 선과 선은 마음과 마음을 관계의 그물망으로 드러낼 것이다. 펜은 이제는 부재한, 사라진 추억조차 호명하고 초대할 것이다. 그래서 그의 드로잉은 멈추지 않았다. 손목은 불편을 체득했으나 행복한 고통은 그의 실존을 명확히 증언했다.

3D 펜 이전, 화가 조원강은 오래 전부터 보고 보여지는 존재의 관계망을 사진으로 포착해서 붓으로 채색한 바 있다. 사진 속에 등장하지만 지금은 부재하는 어떤 실존에 관한 회화적 탐구를 지속해 왔다. ‘보여지는 나’와 ‘바라보는 나’는 이미 우리와 만났었다. 그들은 지금 없지만 뉴욕의 공원과 거리를 산책했고 미술관을 걸었다. 그들은 그 모든 공간을 분주하게 오고 갔다. 발자국 소리, 반려견이 킁킁대는 소리, 꽃이 만개하는 소리, 당신을 그리워하는 소리, 후투티의 쓸쓸한 하품, 터벅 터벅 흙길을 걷는 바람, 피로한 자동차 소음, 내일을 고하는 핏빛 노을, 이들이 시간을 동반하고 화면을 가득 채웠다.
공간은 시간을 그토록 오래도록 붙잡았다. 그리하여 화면 가득, 화가 조원강이 응시한 세계가 공간 속에 머물렀었다. 여러 겹의 시간이 겹쳐서 두꺼워지고 공간이 시간 속으로 미끄러지는 환영의 렌티큘러(lenticular). 그것 역시 작업의 일환이었다. 겹쳐진 영상은 이동하면서 공간적 착시를 시험했다. 충만한 영상 그리고 화면. 그러나 그것들은 프레임에 갇혀 있다. 물질의 질량을 벗고 평면에 사실성을 구현했으나 충만한 공백으로 남았다. 환영은 어차피 근원적인 외로움 같은 것이다. 그 아이러니가 소외를 낳았고 소외마저 화면 프레임에 외롭게 갇혀 있었다. 그가 프레임 너머 시선을 준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마침내 3D 펜은 프레임에 갇혀있던 시간과 공간에게 자유를 선사했다. 시간과 공간은 프레임을 초월하여 오래 전 기억과 다시 만났다. 그의 펜이 인물과 사물의 체온을 높이기 시작했다. 유화의 붓보다 가녀린 펜. 그것이 따뜻한 온기로 벽을 가득 채우기 시작했다. 펜은 마구 풀어지면서 서로를 경계없이 품고 안으며 놀라운 균형 감각으로 멋진 풍경을 펼쳐보였다. 17년 동안 그가 뉴욕을 걷고 만난 강렬하고 풍요로운 기억이다. 너와 나의 기억이고 그리움이며 사랑이다. 그리하여 그리움으로 가득 채워진 관계의 향연이 우리에게 말을 걸어왔다. 이름하여 21세기 벽화. 그의 펜은 앞으로도 끝끝내 멈추지 않고 프레임 밖을 향할 것이다. 벽과 벽의 경계마저 허물고 마음과 마음을 연결해서 광대무변한 영혼의 풍경을 펼쳐보일 것이다. 상상만으로 행복해지지 않는가.

조용훈(청주교대 교수, 문화비평가)